KB국민은행 등 일부 은행의 경우 웹에서 인터넷 뱅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런저런 플러그인을 반드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 중 두 개가 veraport, delfino 이다.





위 두 개의 프로그램은 WIZVERA 사에서 만든 프로그램이다. (사이트 링크: http://www.wizvera.com)

WIZVERA 사이트에 따르면 veraport의 경우 "통합 설치 관리", delfino의 경우 "인터넷뱅킹 공인인증 전자서명 모듈"이 라고 한다. 이 프로그램들을 설치하지 않으면 인터넷 뱅킹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설치를 해야만 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 프로그램들이 인터넷 뱅킹을 마치더라도 종료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래를 보자:



작업 관리자나 Proces Explorer 등으로 보면 위와 같이 프로세스가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도 컴퓨터의 자원을 갉아먹는다.


그렇다면 이 프로세스들을 강제로 종료한다면 어떻게 될까?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더라도 몇 초 뒤에 다시 프로세스들이 실행된다. 사람에 따라선 상당히 기분이 나쁠 수 있다. 보통 악성 프로그램들이 이런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veraport와 delfino를 VirusTotal(www.virustotal.com)에서 검사해본 결과 악성 프로그램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저 거슬리는 프로세스들을 어떻게 하면 종료할 수 있을까?




먼저 결론부터 말하자면 종료는 할 수 있지만 수동으로 다시 실행해주기 전까진 인터넷 뱅킹 이용을 못하게 된다. 참으로 거지같은 상황이 아닐 수 없다. 가만히 내버려 두자니 시스템의 자원이 아까울 뿐더러 저 프로세스들이 백그라운드에서 무슨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거나 어떤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 받아 컴퓨터에 설치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그렇다고 종료하자니 인터넷 뱅킹 이용할 때마다 귀찮게 일일히 실행을 시켜줘야 한다.


일단은 왜 저 프로세스들이 종료되지 않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고 그 다음으로 종료하는 법을 알아보자.




먼저 시작-실행-services.msc 입력 후 확인을 누른다. 시작-실행 대신 윈도우 키를 누른 상태에서 R 키를 눌러도 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서비스 관리자가 뜬다:



여기서 WIZVERA Process Manager Service 라는 것을 찾는다. 이 서비스가 wizvera.exe 와 delfino.exe 를 계속 실행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현재 시작됨 상태에 자동 시작 유형인 것을 볼 수 있다. 즉 이 서비스가 동작중이며, 서비스를 중지하고 컴퓨터를 재시작하더라도 자동으로 서비스가 다시 동작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이름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속성"을 누르자:



그럼 아래와 같이 속성이 표시된다:





시작 유형은 "자동(지연된 시작)"으로 바꾸자. 이렇게 하면 부팅 속도가 조금이라도 빨라진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 바로 아래에 보이는 "중지" 버튼을 눌러서 서비스를 중단시킨 뒤 확인 버튼을 누르고 나오도록 하자 - 참고로 다시 실행하려면 "시작" 버튼을 누르면 된다. 꼭 기억해야 한다.




그러면 이렇게 상태가 없어진다 - 즉 실행이 중단되었다. 이제 veraport.exe, delfino.exe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면 상황 끝.




다만 위에서도 말했듯이, 이렇게 하는 경우 인터넷 뱅킹을 다시 하려면 WIZVERA Process Manager Service 속성으로 들어가서 "실행" 버튼을 눌러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와 통신을 못하는지 공인인증서 화면이 뜨지 않는다. 상당히 거슬리는 부분이다. 


이제 ActiveX, NPAPI 모두 지원이 중단되고 있으므로 각 은행에서도 조속히 웹 표준을 지키는 인터넷 뱅킹 시스템을 만들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한국에 인터넷 인프라가 막 보급되던 2000년도 초에는 회원 가입 시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이메일로 전달되는 경우가 많았다. 아마도 아이디랑 비밀번호를 까먹을까봐 전달한게 아닐까 싶기는 하지만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다. 그런데 요즘에도 이런 사이트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바로 미스터피자이다.

이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번째로 이메일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비밀번호가 들어가있는 패킷이 제 3자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회사 서버가 이메일 서버로 보낼 때와 내가 이메일을 열어볼 때의 두 시점에서 노출될 수가 있다. 쉽게 말하면 패킷이라는 것은 포장이 되어있지 않은 택배 화물 또는 봉투 없는 편지와 비슷하다. 중요한 내용은 아예 암호화해서 써놓아야 한다.

두번째는 조금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바로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지 않고 있거나 해독이 가능하다는 암시적인 증거가 되기 때문이다. 내 비밀번호를 저쪽에서 보내줄 수 있다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내 비밀번호를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저장해놓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만약 미스터피자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해킹을 당할 경우 나의 비밀번호가 해커에게 전달이 될 것이고, 거기다가 동일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모든 사이트가 털릴 것이다. 최소한 아이디는 아니더라도 비밀번호를 사이트마다 다르게 하는 것이 이래서 중요한 것이다. 영세한 회사는 보안이 취약하기 쉬우므로 이런 곳이 털리면 아무리 보안이 철저한 사이트라도 비밀번호를 알고 있으므로 그냥 뚫고 들어갈 수 있다.

만에 하나 이메일에 중요한 정보, 예를 들면 금융 관련 정보를 저장해두고 있는 사람이라면 무시무시한 피해를 입을 것이다.


여기서는 미스터피자가 대상이었지만 아직도 이런 회사들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해킹에 100% 안전한 곳은 어디에도 없다는 것이다. 반드시 비밀번호를 사이트마다 다르게 해주자.


 
반응형

참고 게시물: http://youtil.tistory.com/124 (한번 읽어보자)


토렌트 다운의 운영자가 FDISK에게 회원 정보를 팔아먹은 사건이 터졌다.
여기서 아이디@07, 비번@07 이런식으로 회원들 DB를 넘겼다고 했다.

충격적인 부분이다.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지 않았던 것이다. << 지금 이 글의 핵심이다!!!

애초에 토렌트 다운의 운영자는 누구라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는 말이다.
(지금은 FDISK의 운영자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밀번호를 암호화했다면 DB에 들어가있는 비밀번호 정보가 애초에 인간이 읽을 수도 없고 역변환도 되지 않도록 해시 알고리즘 등으로 변환해서 들어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자신의 원래 비밀번호끝에 @07 이런식으로 텍스트가 붙었다는 것은 비번이 텍스트로 그대로 저장되어있었다는 이야기다.


예를 들어 회원가입 시 이렇게 입력했다고 치자:
ID: test
PW: myPassWord

회원 DB를 암호화하는 사이트는 다음과 같이 저장할 것이다:
 (예시일 뿐 사이트별로 어떤 방법을 쓰는지는 알 수 없다)
ID: test
PW: 4623336A7094BDB9FD626A7C82A97D811EB7A530

하지만 회원 DB를 암호화하지 않는(토렌트 다운같은) 사이트의 관리자는 그냥 보인다:
ID: test
PW: myPassWord


만약 비밀번호를 암호화해서 저장했다면 어떻게 뒤에 "@07" 같은 텍스트를 붙일 수 있었을까??
애초에 원래 비밀번호를 알 수도 없었을 것이다.

만약 이 글을 보는 지금 동일한 ID를 사용하는 사이트가 있다면 당장 비밀번호를 바꿔라.


토렌트 다운의 운영자 '도너츠'의 변명이 더 기가 막힌다 ^^

개인정보 유출은 절대 발생하지 않았으며 타 사이트로의 가입도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이게 개인정보, 그것도 비밀번호 유출이 아니면 무엇인가? 해당 사이트 운영자 도너츠는 지금이라도 경찰에 정보통신법 위반으로 자수하길 바란다.


참고로 어떤 사이트를 가입할 때는 비밀번호를 운영자가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안전할 것이다. 사이트별로 비밀번호를 다르게 하고, ID 역시 신뢰할 수 있는 IT 계열 대기업이 아니면 다르게 만들어 쓰기를 권장한다.
반응형

IT와 스타벅스 커피를 비교한 기사.

1차, 2차, 3차 산업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텐츠를 빗대어 비교했고, 현재 크게 성장중인 IT 산업 - 소셜 네트워크 - 과 새로 생성된 4차 산업(말하자면, 스타벅스)과의 관계를 알기 쉽게 풀이했다.

"소비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원가는 몇십원 혹은 몇백원밖에 안하는 커피에 비싼 돈을 지불하는 소비자의 심리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덤이다.


링크: http://www.bloter.net/wp-content/bloter_html/2010/02/26367.htm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