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게시물: http://youtil.tistory.com/124 (한번 읽어보자)


토렌트 다운의 운영자가 FDISK에게 회원 정보를 팔아먹은 사건이 터졌다.
여기서 아이디@07, 비번@07 이런식으로 회원들 DB를 넘겼다고 했다.

충격적인 부분이다.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지 않았던 것이다. << 지금 이 글의 핵심이다!!!

애초에 토렌트 다운의 운영자는 누구라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는 말이다.
(지금은 FDISK의 운영자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밀번호를 암호화했다면 DB에 들어가있는 비밀번호 정보가 애초에 인간이 읽을 수도 없고 역변환도 되지 않도록 해시 알고리즘 등으로 변환해서 들어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자신의 원래 비밀번호끝에 @07 이런식으로 텍스트가 붙었다는 것은 비번이 텍스트로 그대로 저장되어있었다는 이야기다.


예를 들어 회원가입 시 이렇게 입력했다고 치자:
ID: test
PW: myPassWord

회원 DB를 암호화하는 사이트는 다음과 같이 저장할 것이다:
 (예시일 뿐 사이트별로 어떤 방법을 쓰는지는 알 수 없다)
ID: test
PW: 4623336A7094BDB9FD626A7C82A97D811EB7A530

하지만 회원 DB를 암호화하지 않는(토렌트 다운같은) 사이트의 관리자는 그냥 보인다:
ID: test
PW: myPassWord


만약 비밀번호를 암호화해서 저장했다면 어떻게 뒤에 "@07" 같은 텍스트를 붙일 수 있었을까??
애초에 원래 비밀번호를 알 수도 없었을 것이다.

만약 이 글을 보는 지금 동일한 ID를 사용하는 사이트가 있다면 당장 비밀번호를 바꿔라.


토렌트 다운의 운영자 '도너츠'의 변명이 더 기가 막힌다 ^^

개인정보 유출은 절대 발생하지 않았으며 타 사이트로의 가입도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이게 개인정보, 그것도 비밀번호 유출이 아니면 무엇인가? 해당 사이트 운영자 도너츠는 지금이라도 경찰에 정보통신법 위반으로 자수하길 바란다.


참고로 어떤 사이트를 가입할 때는 비밀번호를 운영자가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안전할 것이다. 사이트별로 비밀번호를 다르게 하고, ID 역시 신뢰할 수 있는 IT 계열 대기업이 아니면 다르게 만들어 쓰기를 권장한다.
반응형


ONE MUST FALL
 
초딩 시절 죽어라 했던 게임.
 
 
동생이 기억나게 해주었다.
 
그때 들었던 배경음악 아직도 선하다.
 
 
지금 보니, '누군가 하나는 떨어져야 한다'는
 
조금은 가슴아픈 현실의 제목이다.
 
 
1994년 당시 개발사였던 Epic MegaGames는 현재 국내, 국외의 많은 게임 개발사들이 수억원, 수십억원씩을 주고 구입하여, 혹은 로열티를 지불하여 사용하게 되는 Unreal Engine 시리즈를 만든 Epic Games가 되었다.



OMF 2097 배경음악 듣기: http://blog.naver.com/exacall/140061810197


반응형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거시 코드와 씨름 중  (0) 2010.10.10
프로그래밍 심리학  (0) 2010.09.15
으아앙대  (0) 2010.02.26
Misirlou 연습중  (0) 2010.02.17
이틀째  (0) 2010.02.16

전역 변수를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함수가 길어지면 안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인간의 초 단기 기억력은 한 번에 7가지 정보만을 동시에 기억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글: 두뇌이야기 (4) - 워킹메모리를 늘리는 법)


함수를 짧게 만들어야 하는 이유

우리가 코드를 보는 중에 빠르게, 그리고 오래 기억하고 있을 수 있는 사실들은 매우 적다. 예를 들어 지금 지역 변수가 7개를 초과한다면 함수 분석 중 변수의 변화를 더 이상 따라갈 수 없게 된다. 또 if문이 2중, 3중으로 중첩되거나 함수가 길어질 경우에도 그 이전 기억을 모두 붙잡고 있어야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전역 변수를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전역 변수의 경우에는 전역 변수가 언제 변하는지 파악하기가 아주 힘들다. 함수 중간에 다른 함수를 호출했는데 내가 쓰고 있던 전역 함수 값이 과연 바뀔까 안바뀔까? 그 밑 함수를 줄줄이 따라가봐야만 알 수 있게 된다.

처음에는 이곳저곳에서 편하게 쓰겠지. 하지만 나중에 가면 전역 변수는 '누구나 건드릴 수 있다'는 점이 문제다. "대체 어떤 자식이 이 변수값을 바꾸는거야" 혹은 "이게 대체 왜 바뀌는거야" 하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